중간중간 나오는 오류들을 해결해 보자
1. WSL 활성화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아래 2개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참고로 터미널을 관리자 권한으로 안 열면 작업이 실패한다고 한다.)
2. PC 재부팅
작업이 완료되면 PC를 재부팅해주자
3.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본인 PC의 CPU 아키텍처에 맞춰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 후 실행한다.
(여기서 설치를 안 하면 나중에 Ubuntu 실행 시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701bc" 라고 뜨면서 실행이 안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PowerShell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wsl --set-default-version 2
4. MS Store에서 Ubuntu 20 04 xx LTS 앱 설치
시작에서 Microsoft Store를 검색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Ubuntu를 검색하여 LTS 20 버전을 설치한 후 실행한다.
만약에 실행 시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c03a001a" 라고 뜬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한다.
- 시작 > 실행 > %localappdata%\Packages 입력.
- CanonicalGroupLimited.Ubuntu_ 로 검색해서 나오는 폴더를 찾아서 오른쪽 클릭.
- 속성 > 일반 > 고급 > "내용을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 절약"의 체크 박스의 체크를 해제.
- Ubuntu App 재실행.
필자는 이 에러가 나왔다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370102”
0.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1.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기능 켜기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창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기능 ✔️ -> 시스템 재시작
2. 가상 머신 플랫폼 기능 켜기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창 -> 가상 머신 플랫폼 기능 ✔️ -> 시스템 재시작
3. Hyper-V 기능 켜기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창 -> Hyper-V 기능 ✔️ -> 시스템 재시작
주의) Hyper-V 하위 카테고리까지 모두 ✔️
4. BIOS에서 가상환경 설정 활성화로 바꾸기
시스템 재시작 -> Windows 실행 전 검은 화면에서 Del키 또는 F2 키 연타 -> BIOS 접속 -> Advanced -> CPU Configuration -> Intel (VMX) Virtualization Technology ✔️ -> 시스템 재시작
시스템 재시작 -> Windows 실행 전 검은 화면에서 Del키 또는 F2 키 연타 -> BIOS 접속 ->SVM 모드 ON
5. 개발자 설정에 들어가서 개발자 모드 활성화 시키고 재부팅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370102 please enable the virtual machine platform windows feature and ensure virtualization is enabled in the bios. 해결)
**!!!필자는 여기서 이틀을 날렸다…
위에 나온 방법대로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370102 다해도 해결되지 않았다**.
https://askubuntu.com/questions/1264102/wsl-2-wont-run-ubuntu-error-0x80370102
참조했다…
WSL 2 Won't Run Ubuntu - Error 0x80370102
Today, I decided to upgrade from WSL 1 to WSL 2. On WSL 1, I had no issues getting both Kali Linux or Ubuntu to function on WSL 1. When upgrading to WSL 2, both Kali and Ubuntu failed to upgrade to
askubuntu.com
솔직히 말하면 너무 많은 방법을 해서 무엇이 해결 방법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 Disabled the "Virtual Machine Platform" feature
- Restarted Windows
- Re-enabled the "Virtual Machine Platform" feature
- Restarted Windows once more
이거다… 가상머신플랫폼을 Window 기능 켜기/꺼기에서 체크아웃했다가 재부팅 → 체크인 재부팅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LINUX 해제/설정 (0) | 2024.03.25 |
---|---|
[Ubuntu] SSH 로그인 배너 설정 (0) | 2024.03.25 |
윈도우 netstat 명령어 사용법 (0) | 2024.02.27 |
[Linux] ln 심볼릭 링크 생성 및 변경 (0) | 2024.02.21 |
[Linux] 리눅스 IP 네트워크 설정 (0)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