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stat
명령어는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유용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Windows 환경에서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종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netstat
명령어 기본 사용법
cmd
또는 PowerShell을 열고 다음과 같이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etstat [옵션]
여기서 [옵션]
은 다양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옵션
- a (All Connections):
모든 연결을 보여줍니다. 리스닝(listening)과 비리스닝(non-listening) 상태를 모두 포함합니다.netstat -a
- n (Numeric):
호스트 및 포트 번호를 숫자로 표시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호스트와 포트가 숫자로 표시되어 DNS 해석을 수행하지 않습니다.netstat -n
- o (Own Process):
어떤 프로세스가 해당 연결을 소유하고 있는지 표시합니다. 프로세스 ID (PID)도 함께 표시됩니다.netstat -o
- p (Protocol):
사용 중인 프로토콜을 표시합니다. TCP, UDP 등이 포함됩니다.netstat -p tcp
- b (Executable Name):
어떤 응용프로그램이 해당 연결을 사용 중인지를 표시합니다.
netstat -b
종류
netstat
명령어의 결과는 여러가지 정보를 보여줍니다.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Active Connections (활성 연결):
현재 활성화된 연결 목록을 보여줍니다. - Protocols Statistics (프로토콜 통계):
TCP, UDP 등 각 프로토콜의 통계를 보여줍니다. - Active UNIX Sockets (활성 UNIX 소켓):
UNIX 도메인 소켓에 대한 활성 연결을 보여줍니다. - Ethernet Statistics (이더넷 통계):
네트워크 어댑터의 통계 정보를 보여줍니다.
예시
- 모든 연결 표시
netstat -a
- 활성 TCP 연결 표시
netstat -at
- 활성 UDP 연결 표시
netstat -au
- 특정 포트 사용 중인 프로세스 표시
netstat -ano | find "8080"
- 프로토콜 통계 표시
netstat -s
netstat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들을 참고하여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LINUX 해제/설정 (0) | 2024.03.25 |
---|---|
[Ubuntu] SSH 로그인 배너 설정 (0) | 2024.03.25 |
[Linux] ln 심볼릭 링크 생성 및 변경 (0) | 2024.02.21 |
[Linux] 리눅스 IP 네트워크 설정 (0) | 2024.02.18 |
[Linux] Windows 10에 WSL2 우분투 설치 (0) | 2024.02.01 |